웹 코딩(33)
-
CSS - 2 [상속 & 캐스케이딩
상속이란? 부모의 엘리먼트 속성을 가진 자식 엘리먼트가 물려받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든 엘리먼트의 색상을 지정할때 하나 하나 지정하는 것보다 제일 상위 엘리먼트인 색상을 지정하면 하위 엘리먼트도 자동으로 색상이 적용된다. https://www.w3.org/TR/CSS21/propidx.html Full property table www.w3.org 상속하는 속성과 상속하지 않은 속성 캐스케이딩이란?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는 의미이다. 선택자에 따른 우선순위는 !important > 인라인 style > id > class > 태그
2021.08.10 -
CSS - 1 [선택자]
CSS(Cascading Style Sheets)란? 웹 문서의 전반적인 스타일을 미리 저장해 둔 스타일시트이다. 문서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세세한 스타일 지정의 필요를 줄어들게 하였다. 기존의 HTML은 웹 문서를 다양하게 설계하고 수시로 변경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스타일 시트이고 스타일 시트의 표준안이 바로 CSS이다. 전체 선택자 - 모든 요소에 적용 * {} 태그 선택자 - 태그를 사용하는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 ex) H1 태그 사용 시 H1 {} ID 선택자 - id속성을 가진 특정 부분에 스타일을 적용 #id명 {} id 에 줄 경우 아래처럼 #을 맨 앞에 붙여 사용하며 원칙적으로 하나의 객체에만 적용할 수 있다. Class 선택자 - cl..
2021.08.03 -
HTML - 4 [URL, 경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란 ?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보가 들어있는 웹페이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니크한 주소이다. Protocol : 컴퓨터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 Host : 개별적인 IP 주소를 가지는 시스템 Path :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와 파일명 상대경로 : 문서를 기준으로 한 다른 리소스들의 위치정보 ../ 부모 디렉토리 ./ 현재 디렉토리 (생략 가능) 절대경로 : 문서의 위치를 가르키는 위치정보 / 루트 디렉토리 URL 사용
2021.08.03 -
HTML - 3 [FORM]
폼(Form)이란? 사용자의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이다.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여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회원가입 기능을 위해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글을 작성하거나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method - GET / POST GET URL에 정보가 담겨서 전송된다.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다. 퍼머링크로 사용될 수 있다. POST header의 body에 담겨서 전송된다. URL 상에 전달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다. GET에 비해서 보안상 약간의 우위에 있다.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길이 제한이 없다. 퍼머링크로 사용할 수 없다. 서버 쪽에 어떤 작업을 명령할 때 사용한다. (데이터의 기록, 삭제, 수정 등) type : text, password, radio, ch..
2021.08.03 -
HTML - 2 [BODY, HEAD]
BODY 태그 링크 링크이름 href : 링크이름과 연결된 리소스의 주소 title : 리소스에 대한 설명, 롤오버 시 툴팁으로 표시 target : 문서가 로드될 대상 _self : 현재의 창에서 로드 _blank : 새로운 창에서 로드 iframe : 웹페이지 안에 다른 웹페이지를 삽입할때 사용하는 태그 scrolling : iframe 안에서 스크롤링을 허용할 것인지를 지정 auto : 스크롤이 필요한 경우만 스크롤바 허용 yes : 스크롤링 허용 no : 스크롤하지 않음 문단 줄바꿈 띄어쓰기 이미지 순서가 없는 리스트 항목 순서가 있느 리스트 항목 이스케이핑이란? HTML 코드는 브라우저에 의해서 해석되는 문자이기 때문에 태그를 줄바꿈이 아닌 화면에 표시할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 → & < → ..
2021.08.02 -
HTML - 1 [HTML]
HTML이란 ?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언어로 웹브라우저 위에서 동작하는 언어이다. 태그란 ? 정보를 정의하는 형식 HTML 문서의 구조 이란 최상위 태그와 그 하위에 태그와 태그로 구성돼있다. 태그는 문서를 설명하는 태그로 제목이나 키워드같은 정보를 담는다. 태그는 문서의 내용을 담는다. 메타데이터 :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 DTD (Doctype) : 문서의 형식을 브라우저에게 알려주기 위한 코드
2021.08.02